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건강Q&A

질문

나이17 남 키164 몸무게80 어떻해 빼나요

나이17 남 키164 몸무게80 어떻해 빼나요


답변

Re : 나이17 남 키164 몸무게80 어떻해 빼나요
김보연 하이닥 스코어: 22
이 답변에 동의한 전문가
0명
이 답변을 추천한 사용자
0명
안녕하세요, 하이닥 영양상담사 김보연 입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하루 세 끼 규칙적으로 드시는 겁니다. 식사가 불규칙할 경우 쉽게 설명드리자면 몸이 주인을 믿지 못해서 에너지를 비축해두려고 하게 됩니다. 그렇게 될 경우, 조금만 먹어도 저장을 하려고 하고 저장의 형태는 가장 쉬운 지방이 되겠지요.

물을 많이 드세요. 하루 2L이상씩은 드시는 게 좋습니다. 간혹 뇌가 갈증을 식욕으로 착각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갑자기 군것질이 하고 싶을 때 물을 드셔도 좋고, 물은 노폐물 배설에 도움을 주니 많이 드실수록 좋아요.

대신, 커피나 음료로 드시기보단 생수, 차 종류로 드시는 게 좋습니다. 특히 학생이시면 음료수 같은 거 매점에서 사먹기 쉬운데 액상과당이 포함되어 있는지 보고 사드세요. 액상과당은 쉽게 말하면 설탕을 물에 녹이기 쉬운 형태로 한건데 과당은 몸속에서 지방으로 전환되는 속도가 빠릅니다. 액상과당 없는 건 거의 차 종류의 음료일거예요. 생수를 드실 거면 찬것보다는 미지근하거나 따뜻한 물 드시는게 체지방 연소에 더 도움이 됩니다.

식사 하실 때 밥의 양은 2/3공기 또는 반 공기만 드시는것 만으로도 하루 300kcal가 넘게 덜 드실 수 있습니다. 밥은 흰 쌀밥보단 잡곡밥, 현미밥 등이 식이섬유, 미네랄이 풍부해서 더 좋습니다. 정제된 밀가루로 만든 면, 빵, 흰쌀로 만든 백설기 떡 등은 가능하면 피해주세요. 군것질로 과자 많이 드시는 것도 탄수화물 섭취를 과잉되게 하기 쉬운길입니다. 탄수화물의 섭취가 과할 경우 간에서 지방으로 바뀌어 저장됩니다.

채소는 많이 드실수록 좋은데 조미된 것보단 생채소가 좋습니다. 쌈으로 드시는게 가장 맛있게 채소를 많이 드시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잎채소 위주로 드시면 칼로리 걱정은 안하셔도 됩니다.

국이나 찌개는 염분섭취를 증가시킵니다. 짠 음식은 입맛을 당기게 하므로 항상 간은 삼삼하게 해주세요. 드실 때도 건더기 위주로 드시는 게 더 좋습니다.

고기, 생선, 당걀, 콩류는 단백질의 급원식품입니다. 한 끼에 손바닥만큼 또는 손바닥 반만큼 드시면 됩니다. 살찔 것 같아서 아예 안드시게 되면 체근육 손실이 생길 수 있으므로 어느 정도는 드시는게 좋아요. 대신 양념이 많이 된 불고기, 생선조림 등은 양을 잘 조절해서 드시는게 좋겠죠.

수면도 충분히 취해주시는 게 좋습니다. 수면이 부족할 경우 렙틴이라는 식욕조절 호르몬이 감소하므로 하루 7~8시간은 주무시는걸 권장합니다.

운동은 헬스도 좋고 유산소운동은 꼭 병행해주세요. 지방을 태우는건 유산소운동이 더 효과적입니다. 유산소운동은 될 수 있으면 매일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도움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답변

Re : 나이17 남 키164 몸무게80 어떻해 빼나요
이정은 하이닥 스코어: 24
이 답변에 동의한 전문가
0명
이 답변을 추천한 사용자
0명
안녕하세요, 하이닥 운동상담사 이정은 입니다.

질문자님의 키에 평균 체중 범위는 55.3-67.5kg으로 약 13kg 정도의 감량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감량을 하실 때 무리해서 빨리 빼려고 하기 보다는 전체적인 생활습관을 바꾼다는 마음으로 장기적으로 실천하시길 권장합니다. 건강한 감량은 주 0.5 kg, 월 2kg 입니다. 잘 실천해보시고 건강한 체중감량에 성공하시길 바랍니다!

----------------------------------------------
▶[건강한 다이어트 방법]
하루 동안 섭취하는 칼로리에 비해 소모하는 칼로리가 많을 경우 체중은 감량됩니다. 따라서 섭취하는 칼로리 즉 식사량 조절과 소모하는 칼로리 즉 활동량(노동, 운동 등)을 늘리시길 권장합니다.

1. 전체적인 식사량을 2/3정도로 줄이세요. 지나친 식사량 제한은 체내 에너지를 지방으로 저장하여 오히려 체중조절에 방해가 됩니다.
2. 공복 기간이 길어져 폭식 및 과식을 하지 않도록 매 끼니를 챙기시고, 균형 잡힌 식사를 섭취하세요. 충분한 영양공급이 다이어트를 돕습니다.
3. 운동을 규칙적으로 실천하세요. 운동의 효과는 주 3회 이상 꾸준히 했을 경우 최소 약 2개월 이상부터 나타납니다. 따라서 꾸준히 할 수 있는 운동을 습관화하여 보세요.
4. 일상에서 활동량을 늘리세요. 가까운 거리는 걸어다니기, 엘리베이터 대신 계단이용하기 등 생활 속 칼로리소모를 늘릴 수 있는 방법을 이용해 소모칼로리량을 높이시길 바랍니다.
5. 식사 텀이 길다면 식사와 식사 사이 두유, 견과류 등 간식을 섭취하여 폭식 및 과식을 예방하시길 바랍니다.

▶[추천 운동]
유산소운동+근육운동 함께 병행하시길 권장하며, 가장 쉽게 하실 수 있는 운동은 걷기입니다. 유산소운동의 경우 한 번 실천하실 때 최소 40분 이상 걸면 좋아요. 쉽게 하실 수 있는 운동부터 시작하여 중단하지 말고 꾸준히 실천하시길 바랍니다.

또한 근육운동의 경우 웨이트가 어려우시다면 잘 알고 있는 스쿼트, 런지, 팔굽혀펴기, 윗몸일으키기 등 할 수 있는 것이 많습니다. 웨이트운동을 따로 실천하시기가 어렵다면 스쿼트 한 가지만 매일 걷기와 함께 20회씩 3세트 실천해보시길 바랍니다.

이 외에도 어떤 운동이든 꾸준히 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흥미를 붙이고 꾸준히 할 수 있는 운동을 찾아 건강한 체중감량에 성공하시길 바랍니다. (ex. 배드민턴, 축구 등)

-유산소 운동: 걷기, 조깅, 러닝, 수영, 등산, 줄넘기, 실내자전거 타기, 배드민턴 등
-근력 운동: 스쿼트, 런지, 플랭크, 크런치, 가벼운 무게의 덤벨운동, 레그레이즈 등
-운동 강도: 숨이 차고, 약간 힘들다 라고 느낄 정도 (중강도 이상)
-운동 빈도: 일 40분 이상, 주 4회 이상

▶[틈틈이 할 수 있는 유산소 운동]
- 등/하교길 버스 한 정거장 먼저 내려 걷기
- 등/하교길길 동네 한 바퀴 걷기
- TV(책)보며 제자리 걷기
- 실내자전거 타기 30분 이상
- 계단 오르기 5층 이상
---------------------------------------------

만약 위의 내용을 실천하시기 힘들고 어려우시다면, 이거 하나만이라도 꼭 실천하세요!
▶▶매일 40분 이상 빠르게 걷기!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더욱 건강하세요! 감사합니다. (*^^*)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답변

Re : 나이17 남 키164 몸무게80 어떻해 빼나요
박은경
박은경[운동전문가] (주)메디플러스솔루션
하이닥 스코어: 62
이 답변에 동의한 전문가
0명
이 답변을 추천한 사용자
0명
안녕하세요, 하이닥 운동상담사 박은경 입니다.

살을 빼는 데에 좋은 방법은 섭취량(음식섭취)을 줄이고, 소비량(특히 유산소성 운동방법)을 늘리시면 됩니다. 또한, 소비량을 늘리실 때에 지방연소에 도움이 되기 위해서 전신의 스트레칭을 먼저 실시하고, 속보로 걷기, 가벼운 걷기-조깅 운동, 줄넘기 또는 타바타 운동 등 유산소성 운동을 권장합니다.

<실전>
스트레칭 방법
1) 전신뻗기 2) 한쪽 허벅지 가슴으로 당기기 3) 양손으로 한쪽 다리 종아리를 잡고 가슴으로 당기기 4) 한쪽 다리를 들어 반대쪽으로 넘겨 허리 비틀기 5) 옆으로 누워서 무릎 옆구리로 당기기 6) 양발 붙이고 허리 숙이기 등이 있습니다. 한 가지 동작을 15-20초 이상 유지하시고, 3-5세트 반복하십시오.

유산소 운동
초기 2주 걷기
(단, 걷기 중 팔을 90도로 굽힌 상태에서 어깨 높이로 들고 실시한다.
2주 이후 걷기-조깅 프로그램
(10분 걷기-3분 조깅-10분 걷기-3분 조깅-10분 걷기)
4주 이후부터 매주 1-2분씩 조깅 시간을 늘려주며, 총 40-60분간 실시합니다.

근력운동
1) 반만 윗몸일으키기 - 30회 3세트
2) 반만 대각선으로 윗몸 일으키기 -20회 2세트
3) 팔굽혀펴기 - 10-15회 3세트
4) 런지 - 20초 3세트
5) 스쿼트 - 20회 3세트

제 답변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