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건강Q&A

질문

안녕하세요저 아들 둘 키우는 엄마데요뱃살을 빼려고 ...

안녕하세요
저 아들 둘 키우는 엄마데요
뱃살을 빼려고 하는데 어떻게 하면 되나요


답변

Re : 안녕하세요저 아들 둘 키우는 엄마데요뱃살을 빼려고 ...
이윤빈
이윤빈[운동전문가] 국민대학교
하이닥 스코어: 35
이 답변에 동의한 전문가
1명
이 답변을 추천한 사용자
0명
안녕하세요, 하이닥 운동상담사 이윤빈 입니다.

인체는 전신에 분포되어 있는 지방을 에너지원으로 활용하며, 운동이나 활동시 국소부위를 지정하여 에너지원을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전신의 저장되어 있는 에너지원을 활용합니다. 이로인해 특정부위를 설정하여 지방을 감소 할 수 있는 방법은 없습니다. 다만, 지방의 응집도가 높을 수록 지방의 감소량이 높으며 이러한 증상은 개개인의 신체적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납니다.

근육운동을 통해 특정부위의 탄력을 높일 수 있음으로 피부늘어짐 현상을 보완 및 예방 하고, 탄력을 부가하여 오히려 전보다 더 슬림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추천드리는 운동종목은 싯업, 크런치, 레그레이즈이로 복부주위의 근육을 강화 시키는 기본적인 운동모형입니다. 15 ~ 20 회 * 5 ~ 10세트를 권장해 드립니다. 운동초보자의 경우 무리하게 운동을 진행하지 마시고, 세트 수를 질문자님의 체력수준에 맞추어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무리한 운동은 극심한 근육통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수 있으며, 운동상해를 유발 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유산소 운동을 병행하시어 추가적인 지방을 감소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답변

Re : 안녕하세요저 아들 둘 키우는 엄마데요뱃살을 빼려고 ...
손윤선
손윤선[운동전문가] University of Houston
하이닥 스코어: 54
이 답변에 동의한 전문가
1명
이 답변을 추천한 사용자
0명
안녕하세요, 하이닥 운동상담사 손윤선 입니다.

우리가 살을 찌우고 싶은 부위만 찌울 수 없듯이, 뺄 때도 마찬가지로 빼고 싶은 부위만 빼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식사량을 줄이시고, 운동을 통해 전신의 체지방을 줄여주면서 그 부위를 자극하는 운동을 했을 때, 원하시는 효과를 얻으실 수 있을 것입니다.

따라서 유산소 운동과 근력운동을 병행하실 것을 추천합니다. 유산소 운동은 빠르게 칼로리를 소비하고, 근력 운동은 근육량을 늘려 기초대사량을 높일 뿐 아니라 몸의 모양을 이쁘게 잡아줍니다. 특히 복부쪽 근력 운동에 신경을 쓰시면 좋은데, 기구없이 할 수 있는 복부 운동으로는 윗몸일으키기, 레그레이즈, 크런치, 플랭크 등이 가장 대표적인 운동이라 할 수 있습니다.

또한 평소에 아랫배에 힘을 주고 있는 습관이 복부 근육 생성에 매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샤워하기 전에 팔굽혀펴기나 윗몸일으키기, 앉았다 일어서기, TV를 보는 동안 스트레칭을 하기, 평소에 빨리 걷는 것도 에너지 소모에 도움이 될 수 있고, 이것이 뱃살 감소와 관련이 될 수 있습니다. 매 순간 순간이 운동 하기 가장 좋은 시간이라는 것 명심하시고, 평상시에 많이 움직이는 생활습관을 갖도록 노력하시기 바랍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답변

Re : 안녕하세요저 아들 둘 키우는 엄마데요뱃살을 빼려고 ...
박지성 하이닥 스코어: 115
이 답변에 동의한 전문가
0명
이 답변을 추천한 사용자
0명
안녕하세요, 하이닥 영양상담사 박지성 입니다.

뱃살 감량 방법에 대해 문의주셨군요.

뱃살의 원인은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대표적으로 잦은 음주, 야식, 밀가루 섭취, 고혈당 섭취 등이 있습니다.
이런 식습관을 피하시고, 정제되지 않은 탄수화물(현미밥)과 함께 규칙적인 식사를 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짠음식, 자극적인 음식, 라면 모두 복부 비만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여기에 빨리 걷기 등의 유산소 운동을 병행하시면 복부 감량이 도움이 되실 겁니다.

참고하시어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