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자의 감사 인사
|
친절한 답변 감사 드립니다
친절한 답변 감사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하이닥 가정의학과 상담의 홍인표입니다.
1. 기관지확장제의 작용 부위
기관지확장제는 기본적으로 기관지(기도)의 평활근을 이완시켜 기도를 넓히고 공기 흐름을 원활하게 합니다. 하지만 약물은 다음과 같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주작용 부위:
주로 기관지, 세기관지(폐포로 이어지는 작은 기도)에 작용합니다.
기관지를 둘러싼 평활근을 이완시켜 호흡을 쉽게 만듭니다.
간접적인 영향:
폐포(산소 교환 부위)까지 산소 유입이 증가하면서 폐 기능이 향상됩니다.
일부 기관지확장제(예: 테오필린)는 폐의 혈류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2. 기관지확장제의 대사 및 배출 경로
기관지확장제는 종류에 따라 체내에서 다른 방식으로 작용하고 배출됩니다.
(1) 흡입형 기관지확장제 (베타2 작용제, 항콜린제 등)
주로 흡입 후 기관지에 직접 작용한 뒤, 일부가 폐에서 흡수되어 혈류로 이동합니다.
대사 과정:
폐 → 혈류 → 간에서 대사(주로 CYP 효소에 의해)
간에서 분해된 후 주로 소변(신장)을 통해 배출됩니다.
빠져나가는 경로:
미량의 잔여 약물은 날숨(호흡)과 가래로 일부 배출될 수 있습니다.
(2) 경구/주사형 기관지확장제 (테오필린 등)
소화기관을 통해 흡수되거나 혈류로 직접 전달되어 폐뿐만 아니라 전신적으로 작용합니다.
대사 과정:
간에서 주로 대사되어 대사산물 형태로 변환
소변을 통해 85~90% 배출, 일부는 대변으로도 배출 가능
신장 기능이 저하된 경우, 배출이 원활하지 않아 혈중 농도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3. 기관지확장제가 체내에서 빠져나가는 과정 요약
흡입형 약물: 폐에서 직접 작용 → 일부 혈류 흡수 → 간 대사 → 신장(소변) 배출
경구형 약물: 위장관 흡수 → 혈류 순환 → 폐 및 전신 작용 → 간 대사 → 신장(소변) 배출
잔여 미량: 일부는 날숨, 땀, 대변을 통해 배출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