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건강Q&A

질문

자가발기주사 부작용 및 경구용 약제 약효 시간

안녕하세요?

발기는 항상 되었는데 가끔 사그라지는 경험을 해 행여나 걱정에 병원에서 검사를 받았다가 현재 자연발기가 되지않고 있습니다.

지난주 토요일 음경초음파검사를 받았는데요. 조무사?인듯 남자분이 주사를 놓았는데 마치 근육에 놓은듯한 뻐근한 큰통증과 함께 첫주사를 실패하였습니다. 약이 일부만 들어갔다고 하더군요. 그러고 반대쪽으로 아무런 통증없이 주사를 놓아 발기가 되었고 곧 의사선생님이 들어와 검사를 하고 이상없다고 하시고 검사를 마쳤습니다. 발기는 총 3시간 안되게 뿌리가까이 부분 통증과 함께 지속되다 사그라들었구요 2번째 주사때 혈관을 건들여 피멍이 들었구요.

그런데 문제가 그 다음날 부터 전혀 발기가 되지 않았습니다. 너무 답답한 마음에 월요일 타 병원을 방문하였고 발기검사를 위해 자이데나100mg를 먹고 1시간 뒤 발기를 하였고 초음파 검사를 간단히 받았습니다.

길게 얘기를 드렸는데 하기와 같이 질문드립니다.

1. 자가발기주사 후 발기부전 부작용 가능성 혹은 사례가 있는지요?
2. 잘못된 주사에 의해 신경, 정맥 , 근육, 백막 혹은 주요부위가 손상이 되어 발기부전이 올 수 있는지요? 마치 항생제를 놓는듯 뻐근하게 통증이 꽤 컸습니다.
3. 자이데나100mg을 복용 후(오후 2시) 1시간 뒤 발기가 되었다면 기능상으로는 아무런 손상이 없다고 할 수 있는지요?
4. 자이데나 100mg 복용 후 1시간, 6시간 뒤 발기가 되었고 다음날 아침 (15시간 후) 수면발기를 확인하였습니다. 그러곤 24시간 후 발기에 실패하였고 그리고 32시간 뒤 발기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밤사이 수면발기는 없는듯 했고 아침에 (40시간 후) 발기가 되지 않았습니다. 그럼 32시간 뒤 성공했던 발기는 약효때문이지요? 아님 자연발기로 생각할 수 있는지요? 대략 약효가 15%정도 남았을것으로 예상되는데요. 오늘 아침에 실패를 하여 맘이 무겁습니다.
5. 예전 자연발기 때는 성기가 서서히 자연스레 커졌었는데, 현재는 자연 발기 실패시에 1/2까지가다가 다시 사그라져버리고, 약 복용 후 성공시에는 1/2선에서 갑자기 먼가 뚫린듯 급격히 발기가 됩니다. 이 증상으로서 상관지을 수 있는 손상부위가 있는지요?

너무 구체적으로 질문을 들여서 죄송합니다.
걱정이 너무 커서 일도 안잡히고 그리고 발기에 실패하면 이제 얼굴도 화끈거리고 몸도 아파와서 겁도 나구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답변

Re :자가발기주사 부작용 및 경구용 약제 약효 시간
김성준
김성준[] 비뇨의학과 전문의
하이닥 스코어: 1
이 답변에 동의한 전문가
0명
이 답변을 추천한 사용자
0명
안녕하세요? 하이닥 비뇨기과 상담의 김성준입니다.

보통 트리믹스를 많이 사용하는데.. 부작용은 음경섬유화,
지속발기증, 주사부위감염, 통증을 동반한 발기, 간독성, 결절형성, 혈종, 등이 있습니다. 질문자님은 이중에서 2가지(통증과 혈종)를 경험하신듯 합니다.

1. 자가발기주사 자체의 부작용으로 발기부전이 오는경우는 흔치 않습니다.

2. 당연히 잘못된 주사를 하면 올수 있지만.. 그럴정도로 잘못 주사하는 곳이 있을까 의문입니다... ㅠ.ㅠ 느끼신 통증 자체가 발기부전주사제를 꺼리게 하는 부작용입니다.
그래서 논문에서는 그런 통증을 느끼시는 분들이 drop-out(중퇴)률이 가장 높습니다.

3. 약물 복용후에 발기가 잘 되었다면 일단은 큰 문제는 없는것으로 보고있습니다.

4. 32시간뒤 발기는 약물하고는 상관없습니다. 반감기가 그 정도로 길지는 않으니까요...

5. 이것과 상관지을수 있는 손상부위는 딱히 없습니다.
하지만.... 병원에서 음경초음파를 시행할때.. 도
플러를 이용한 정맥-동맥 초음파를 모두 시행하였는지
검사결과는 어떠하였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제대로 검사하였고 주치의가 도플러초음파상 이상이 없다고 한다면
일단은 믿으시는 것이 좋을듯 합니다.

젊은 나이의 발기부전은 발기에 대한 걱정이 오히려
더욱 증세를 악화시키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니 현재의 병원이 믿을만 하시다면 꾸준히 다니시면서
자주 상담을 하시고 그 외에 할수 있는 식이요법과 운동 그리고
정기검진등을 하면서 지켜보시는 것이 좋을듯 합니다. ^^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